공부/리눅스

SSH로 원격하기 / 데스크톱 파일 이동하기

Egomi 2017. 5. 8. 12:06

* 위키백과 참고, SSH란?

시큐어 셸(Secure Shell, SSH)은 네트워크 상의 다른 컴퓨터에 로그인하거나 원격 시스템에서 명령을 실행하고 다른 시스템으로 파일을 복사할 수 있도록 해 주는 응용 프로그램 또는 그 프로토콜을 가리킨다. 기존의 rsh, rlogin, 텔넷 등을 대체하기 위해 설계되었으며, 강력한 인증 방법 및 안전하지 못한 네트워크에서 안전하게 통신을 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기본적으로는 22번 포트를 사용한다.

SSH는 암호화 기법을 사용하기 때문에, 통신이 노출된다 하더라도 이해할 수 없는 암호화된 문자로 보인다.


SSH는 Telnet과 달리, 서로 암호화된 문자로 통신하기 때문에 다른 사람이 볼 수 없는 구조로 되어있다. 이에 반해 Telnet은 모든 사람이 주고받는 데이터를 훔쳐볼 수 있다.


SSH 사용을 위해서 PuTTY를 다운받아준다.

시중에 떠도는 PuTTY는 바이러스가 딸려올 수 있으니, 파일 첨부를 해두었다.


putty.exe


리눅스에 SSH 설치하기

>SSH설치하기

$ sudo apt-get install openssh-server

정상설치가 안되는 경우 > $ sudo apt-get update후 실행


>SSH재시작하기

$ sudo /etc/init.d/ssh restart


>SSH제거하기

$ sudo apt-get remove openssh-server



SSH 사용을 위해선, 우분투에서 외부 ip, 22번 포트 접속 시 내부 22번 포트로 포트포워딩을 해주어야 한다. 

현재는 윈도우상에서 VM 위에 우분트를 얹어 사용하고 있으므로, 내부 ip 주소로 접근할 것이다.

ifconfig로 현재 우분투가 받아오는 ip주소를 확인한다.

현재 내 우분투는 10.0.2.15의 내부  ip주소를 받아온다. 외부 포트 22번 접속 시 이 ip의 내부 22번 포트로 이동해주는 설정을 해주자.

현재 실행중인 Ubuntu 우클릭 -> 네트워크 -> 고급설정 -> 포트포워딩

1번은 접속하는 ip로 현재는 설정하지 않았으므로, 모든 ip의 22번 포트에서 접근 가능하다.

2번은 1번에서 접속되는 ip와 포트번호로, 현재 우분투의 ip 주소를 입력해준다. 

현재 나는 공유기의 내부 ip주소를 받아오므로, 내부 ip주소를 입력하였다. 이렇게 내부ip 주소 : 22 포트로 접속 시, SSH의 22포트로 접속하게 된다.


*데스크톱 파일 이동하기

기존에는 파일 이동하면 FTP 였는데, 요즘은 보안이 높아진 SFTP를 많이 이용한다.

SFTP는 SSH를 이용한 파일 전송으로, 22번 포트를 이용한다.


데스크톱에서 진행하던 프로젝트를 리눅스로 옮기고 싶을 때, SFTP를 이용하면 된다.

드래그앤 드롭 방식으로 파일을 이동할 수 있는 알드라이브를 설치하면, SFTP를 쉽게 이용할 수 있다.

알드라이브설치 -> SFTP 접속 -> 리눅스의 파일 목록이 뜬다.


Tomcat을 리눅스에 다운받아보자.

서버 실행을 위한 Tomcat을 tar파일로 다운받아 리눅스에 옮긴다. 그리고 리눅스에서 tar 명령어로 압축을 풀어준다.

(참고 : -옵션 x(묶인 tar해제), v(명령어 실행 과정 자세히), z(압축 해제/압축) , f(파일명을 명시) ex) tar -xvf 파일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