링크파일이란? 윈도우의 바로가기 파일과 같은 것이다.
링크에는 두 가지 종류가 있는데, Symbolic Link 와 Hard Link가 있다.
심볼릭 링크 - 단순히 원본파일을 가리키도록 링크를 만든 것(포인터와 비슷한 역할)
하드 링크 - 원본파일과는 동일한 내용의 다른 파일
<심볼릭 링크 사용해보기>
1. 링크로 설정할 파일의 모드 변경 : chmod +x 파일명 => 초록색으로 바뀐다.
2. 링크파일 생성 : sudo ln -s 파일명 링크명
위의 예시를 보면 javac로 링크를 만들었는데, macboy를 가르키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예시는 현재 javac파일을 환경변수의 usr/bin에 넣어놨다.
파일 실행이 될 때, 현재 디렉토리에 있는 실행파일이 우선 실행되는 것이 아니라 PATH에 설정된 경로들을 resolving하면서 탐색하게 된다. 따라서 /bin/usr/macboy는 자바컴파일러가 저장된 bin 경로보다 앞에 있으므로 javac Hello.java를 실행하면 링크파일이 먼저 발견되어 링크파일이 실행되게 된다.
<Alternatives>
alternatives는 기본적으로 실행할 링크 파일을 지정해둔 하나의 Tool이다.
기본적으로 editor를 실행하게되면 우선순위가 높은 nano가 실행되게 된다. 이처럼 기본으로 실행할 링크파일을 설정해둔 곳이 alternatives이다.
위처럼 직접 새로운 명령어를 alternative에 추가할 수 있다.
'공부 > 리눅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APT(Ubuntu의 Advanced Package Tools) / JDK 버전 바꾸기(Update-Alternatives) (0) | 2017.05.15 |
---|---|
SSH로 원격하기 / 데스크톱 파일 이동하기 (0) | 2017.05.08 |
Java환경변수 설정해주기 (1) | 2017.04.28 |
디렉토리(폴더) / 파일 (0) | 2017.04.28 |
리눅스 설치 (0) | 2017.04.28 |